스폰 모듈의 기본 사용법
나이아가라 시스템의 핵심은 바로 모듈(Module) 입니다. 모듈은 파티클의 생성, 업데이트, 렌더링 등 모든 동작을 정의하는 작은 기능 단위입니다. 2장에서 이미 Initialize Particle
, Spawn Rate
, Add Velocity
등의 모듈을 사용해보셨을 겁니다. 이제 3장에서는 이러한 모듈들을 더 깊이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그 첫 번째 순서로, 파티클의 '탄생'을 담당하는 스폰(Spawn) 모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스폰 모듈은 이미터의 스폰(Spawn) 섹션에 위치하며, 파티클이 언제, 어디서, 얼마나 많이 생성될지를 결정합니다.
스폰 모듈의 역할과 종류
스폰 모듈은 파티클이 처음 세상에 나타나는 방식을 정의합니다. 어떤 효과를 만들고 싶으냐에 따라 적절한 스폰 모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pawn Rate
가장 기본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스폰 모듈입니다. 초당 지정된 수의 파티클을 지속적으로 생성합니다.
- 주요 속성
Spawn Rate
: 초당 생성될 파티클의 개수를 지정합니다. 값이 높을수록 파티클이 더 조밀하게 생성됩니다.
- 사용 예시
- 연기: 낮은
Spawn Rate
로 부드럽게 피어오르는 연기. - 비/눈: 적절한
Spawn Rate
로 지속적으로 내리는 비나 눈. - 물줄기: 높은
Spawn Rate
로 뿜어져 나오는 물줄기.
- 연기: 낮은
- 팁:
Spawn Rate
의 값을 시간에 따라 변화시키고 싶다면, 이 값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나중에 배우게 될 것입니다. (예: 그래프 에디터 사용)
Spawn Burst Instantaneous
특정 시점에 한 번에 지정된 수의 파티클을 폭발적으로 생성합니다. 주로 짧고 강렬한 효과에 사용됩니다.
- 주요 속성
Number
: 한 번에 생성될 파티클의 총 개수를 지정합니다.
- 사용 예시
- 폭발: 폭발 순간에 파편이나 불꽃을 한 번에 흩뿌릴 때.
- 충격파: 땅에 닿는 순간 발생하는 먼지나 파동.
- 총알 피격 효과: 벽에 총알이 맞았을 때 튀는 스파크.
- 팁: 이미터의
Loop Behavior
를Once
로 설정하고Spawn Burst Instantaneous
를 사용하면, 한 번 터지고 사라지는 일회성 효과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Spawn Per Unit
이미터가 이동하는 거리에 비례하여 파티클을 생성합니다. 즉, 이미터가 빠르게 움직일수록 더 많은 파티클이 생성됩니다.
- 주요 속성
Units Per Particle
: 파티클 하나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이동 거리를 지정합니다. 값이 작을수록 더 많은 파티클이 생성됩니다.
- 사용 예시
- 자동차 타이어 자국: 자동차가 움직일 때만 바퀴에서 먼지가 발생하는 효과.
- 마법사의 이동 궤적: 캐릭터가 이동할 때 뒤에 남는 잔상 효과.
- 총알 궤적: 빠르게 날아가는 총알 뒤에 남는 연기 꼬리.
스폰 모듈 추가 및 설정 과정
스폰 모듈을 이미터에 추가하고 설정하는 과정은 매우 간단합니다.
나이아가라 에디터 열기: 작업할 나이아가라 시스템 에셋을 더블 클릭하여 엽니다.
이미터 선택: 개요(Overview) 패널에서 파티클을 생성하고 싶은 이미터를 선택합니다.
스폰 섹션으로 이동: 선택된 이미터 아래의 Spawn
섹션을 찾습니다.
모듈 추가: Spawn
섹션 옆에 있는 +
버튼을 클릭합니다. 모듈 검색창이 나타나면 원하는 스폰 모듈(예: Spawn Rate
또는 Spawn Burst Instantaneous
)의 이름을 입력하여 검색합니다.
모듈 선택 및 추가: 검색된 모듈을 클릭하여 추가합니다.
속성 조정: 추가된 모듈을 선택하면 디테일(Details) 패널에 해당 모듈의 속성들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Spawn Rate
또는 Number
와 같은 주요 속성 값을 원하는 대로 조정합니다.
중요: 파티클이 실제로 보이려면 Initialize Particle
모듈과 Sprite Renderer
(또는 다른 렌더러) 모듈이 이미터에 추가되어 있어야 합니다. Initialize Particle
은 파티클의 기본 속성을 정의하고, 렌더러는 파티클을 화면에 그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스폰 모듈 활용 팁
- 조합하여 사용:
Spawn Rate
와Spawn Burst Instantaneous
를 함께 사용하여 복합적인 효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속적으로 연기가 피어오르면서(Spawn Rate) 가끔씩 불꽃이 터져 나오는(Spawn Burst) 효과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 랜덤 값 활용: 스폰되는 파티클의 개수나 스폰 간격에 무작위성을 부여하여 효과를 더욱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속성 옆의 화살표를 클릭하여
Random Range Float
또는Curve
등을 활용해 보세요. - 성능 고려:
Spawn Rate
나Spawn Burst
의 값을 너무 높게 설정하면 성능에 큰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모바일 플랫폼이나 저사양 환경에서는 적절한 파티클 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Max Particles
속성(이미터 속성)을 통해 최대 파티클 수를 제한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스폰 모듈은 나이아가라 효과의 시작점입니다. 파티클이 어떻게 '태어나는가'를 결정하는 이 모듈들의 사용법을 숙지하는 것은 여러분이 원하는 시각 효과를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첫걸음입니다. 다음 절에서는 생성된 파티클이 살아있는 동안 어떻게 변화하고 움직이는지, 즉 파티클 업데이트(Particle Update) 모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