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화된 개발 환경 설정
언리얼 에디터의 기본적인 패널 사용법과 뷰포트 조작에 익숙해지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이제 여러분은 언리얼 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언어'를 배우신 셈입니다. 이 절에서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여러분의 작업 효율을 더욱 높이고 개인적인 취향에 맞게 에디터 환경을 미세 조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나 혼자 언리얼 기본'이라는 교재의 목표처럼, 여러분이 오직 책만으로도 가장 편안하고 효율적인 학습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세히 안내해 드릴 것입니다.
에디터 환경설정 (Editor Preferences) 활용하기
언리얼 에디터의 다양한 기능과 동작 방식은 '에디터 환경설정(Editor Preferences)' 을 통해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곳은 에디터의 전반적인 작동 방식을 제어하는 일종의 '제어판'과 같습니다.
환경설정 창 열기
- 에디터 상단 메뉴에서 '편집(Edit) > 에디터 환경설정(Editor Preferences)' 을 클릭합니다.
- 새로운 '에디터 환경설정' 창이 나타날 것입니다.
주요 설정 항목 탐색 에디터 환경설정 창은 좌측에 다양한 카테고리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이 중 몇 가지 중요한 항목을 살펴보겠습니다.
-
일반 (General)
- Appearance (외형): 에디터의 테마(어둡게/밝게), 아이콘 크기, 폰트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눈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테마나 폰트를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Regions & Language (지역 및 언어): 에디터의 표시 언어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영문 환경이 더 익숙하다면 여기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은 한글 에디터 기준으로 설명되니,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한글을 유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Performance (성능): 에디터의 성능과 관련된 설정입니다.
- Use Less CPU when in Background (백그라운드에서 CPU 사용량 줄이기): 언리얼 에디터가 백그라운드에 있을 때 CPU 사용량을 줄여 다른 작업에 리소스를 할애할 수 있게 합니다. 노트북 사용자나 멀티태스킹을 많이 한다면 유용합니다.
- Smooth Frame Rate (프레임 속도 매끄럽게): 에디터의 프레임 속도를 안정화하는 옵션입니다.
- Autosave (자동 저장): 자동 저장 빈도 및 최대 백업 개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매우 중요한 기능이니, 여러분의 작업 주기와 안정성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 설정을 유지하거나, 필요에 따라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예:
10분마다
또는5분마다
)- Autosave Content (콘텐츠 자동 저장): 체크하여 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레벨 에디터 (Level Editor)
- Viewport (뷰포트): 뷰포트의 시각적 피드백이나 컨트롤 관련 설정입니다.
- Keyboard Speed (키보드 속도): 뷰포트 카메라 이동 속도의 배율을 조절합니다. 기본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빠르다면 여기서 조절할 수 있습니다.
- Mouse Sensitivy (마우스 감도): 뷰포트 카메라 회전 감도를 조절합니다.
- Invert Middle Mouse Pan (가운데 마우스 팬 반전): 가운데 마우스 버튼 드래그 시 카메라 이동 방향을 반전합니다.
- Snapping (스냅): 뷰포트에서 액터를 이동, 회전, 스케일할 때 적용되는 스냅 단위의 기본값을 설정합니다.
- Rotation Snap (회전 스냅): 기본 10도를 더 세분화하거나 더 크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Grid Snap Size (그리드 스냅 크기): 이동 스냅의 기본 단위를 설정합니다. 정밀한 배치가 필요한 경우 더 작은 값으로, 빠른 배치가 필요한 경우 더 큰 값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Viewport (뷰포트): 뷰포트의 시각적 피드백이나 컨트롤 관련 설정입니다.
-
콘텐츠 에디터 (Content Editor)
- Content Browser (콘텐츠 브라우저): 콘텐츠 브라우저의 표시 방식이나 동작을 설정합니다.
- Asset Editor (에셋 에디터): 블루프린트 에디터, 재질 에디터 등 각종 에셋 에디터의 공통 설정을 포함합니다.
단축키(Hotkeys) 설정하기
언리얼 에디터는 방대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빠르게 사용하려면 단축키(Hotkeys) 를 익히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자주 사용하는 기능의 단축키를 외우면 작업 속도를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기본 단축키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여러분이 직접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단축키 설정 창 열기
- '에디터 환경설정' 창에서 좌측 카테고리의 '키보드 단축키(Keyboard Shortcuts)' 를 클릭합니다.
단축키 검색 및 변경
- 상단의 검색창에 원하는 기능의 이름을 검색하여 해당 단축키를 찾을 수 있습니다. (예:
Save
,Move
,Rotate
) - 특정 기능의 단축키를 변경하려면, 해당 기능 옆의 단축키 입력 필드를 클릭한 후 원하는 키 조합을 누르면 됩니다. 이미 다른 기능에 할당된 단축키라면 경고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 팁: 처음에는 기본 단축키에 익숙해지는 것이 좋습니다.
W
,E
,R
(이동, 회전, 스케일),Ctrl+S
(저장) 등 핵심 단축키부터 익숙해지도록 노력해 보세요.
플러그인(Plugins) 관리하기
언리얼 엔진은 플러그인(Plugins) 을 통해 다양한 기능과 도구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에픽게임즈에서 제공하는 공식 플러그인부터 커뮤니티나 마켓플레이스에서 제공하는 타사 플러그인까지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플러그인 창 열기
- 에디터 상단 메뉴에서 '편집(Edit) > 플러그인(Plugins)' 을 클릭합니다.
- '플러그인' 창이 나타나면 좌측 카테고리에서 원하는 플러그인을 찾거나 검색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활성화/비활성화
- 각 플러그인 옆에 있는 '활성화됨(Enabled)' 체크박스를 통해 플러그인을 켜고 끌 수 있습니다.
- 일부 플러그인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 에디터를 재시작해야 적용됩니다.
- 팁: 초반 학습 단계에서는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플러그인만 사용해도 충분합니다. 불필요하게 많은 플러그인을 활성화하면 에디터 로딩 시간이 길어지거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필요할 때마다 검색하여 활성화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에디터 알림 및 로그 확인
에디터 하단이나 우측 하단에는 중요한 알림 메시지나 에러,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는 공간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재 에디터의 상태나 발생한 문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메시지 로그(Message Log): '창(Window) > 개발자 툴(Developer Tools) > 메시지 로그(Message Log)'를 통해 자세한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제 발생 시 이곳을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 컴파일 결과: 블루프린트나 C++ 코드를 컴파일(Compile)할 때 발생하는 성공/실패 여부 및 에러 메시지가 이곳에 표시됩니다.
개인화된 개발 환경 설정은 여러분이 언리얼 엔진을 더욱 효율적이고 즐겁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지금 당장 모든 설정을 완벽하게 알 필요는 없습니다. 작업을 진행하면서 불편함을 느끼거나, 특정 기능을 자주 사용하게 될 때마다 다시 에디터 환경설정 창을 열어보고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설정을 찾아나가세요.
이제 언리얼 에디터는 여러분의 손에 더욱 익숙해질 준비가 되었습니다. 다음 장부터는 본격적으로 3D 공간에서 오브젝트를 다루고 레벨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더 깊이 들어가 보겠습니다. 준비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