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on
10장 : 배포와 운영

클라우드와 서버 관리


이전 절에서 우리는 게임 업데이트 및 핫픽스 전략에 대해 다루며, 게임 배포 후에도 지속적인 운영이 중요함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멀티플레이어 게임의 경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서버 관리는 플레이어 경험의 핵심이자 게임 운영의 가장 큰 도전 과제 중 하나입니다. 자체 서버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은 비용과 인력 측면에서 큰 부담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많은 게임 개발사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절에서는 멀티플레이어 게임을 위한 서버 관리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서버 구축 및 운영 전략, 그리고 언리얼 엔진 게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게임 서버의 중요성

멀티플레이어 게임 서버는 단순히 게임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넘어, 다음과 같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 게임 상태 동기화: 모든 플레이어에게 게임 월드의 "진실된" 상태를 제공하고 동기화합니다. (서버 권한 - Server Authority)
  • 게임 로직 처리: 데미지 계산, 충돌 처리, 아이템 획득 등 중요한 게임 로직을 중앙에서 처리하여 치트를 방지합니다.
  • 네트워크 연결 관리: 플레이어의 접속 및 연결 해제를 관리하고,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제공합니다.
  • 데이터 저장: 플레이어 데이터, 게임 진행 상황 등을 저장하고 관리합니다.
  • 매치메이킹 및 세션 관리: 플레이어들을 매칭시키고 게임 세션을 생성 및 관리합니다.

서버의 불안정은 곧 플레이어의 불만족과 직결되며, 이는 게임의 성공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점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예: AWS, Google Cloud, Microsoft Azure)는 서버 인프라를 유연하게 제공하여 게임 개발사가 서버 관리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게임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확장성(Scalability): 플레이어 수 변동에 따라 서버 리소스를 자동으로 확장(Scale Up/Out)하거나 축소(Scale Down/In)할 수 있습니다. 이는 동시 접속자 수가 급증하는 론칭 초기나 대규모 이벤트 시에 특히 유용합니다.
  •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여러 지역(Region)과 가용성 영역(Availability Zone)에 서버를 분산 배치하여 특정 서버나 데이터 센터에 문제가 발생해도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합니다.
  • 비용 효율성: 필요한 만큼만 리소스를 사용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종량제(Pay-as-you-go) 모델을 통해 초기 인프라 투자 비용을 절감하고, 유휴 리소스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관리 용이성: 서버 유지보수, 보안 업데이트, 하드웨어 관리 등 인프라 운영 부담을 클라우드 제공업체에 맡길 수 있습니다.
  • 글로벌 네트워크: 전 세계 주요 지역에 데이터 센터를 보유하여 플레이어에게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지연 시간이 짧을수록 게임 플레이 경험이 향상됩니다).

클라우드를 활용한 서버 구축 전략

언리얼 엔진 게임을 클라우드에 배포할 때 고려할 수 있는 주요 전략들입니다.

전용 서버 (Dedicated Server) 배포

  • 개념: 게임 클라이언트와 별도로 서버 로직만 실행되는 독립적인 빌드입니다. 언리얼 엔진은 TargetType.Server를 통해 전용 서버 빌드를 지원합니다.
  • 작동 방식: 클라우드 인스턴스(가상 머신)에 이 전용 서버 빌드를 배포하고 실행합니다. 매치메이커 서비스가 플레이어를 이 서버 인스턴스에 연결합니다.
  • 장점
    • 강력한 서버 권한: 치트 방지에 가장 효과적입니다.
    • 성능: 게임 클라이언트의 렌더링 오버헤드가 없어 순수한 게임 로직 처리 성능이 좋습니다.
    • 안정성: 클라이언트 충돌이 서버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단점: 각 게임 세션마다 서버 인스턴스가 필요하므로 운영 비용이 높을 수 있습니다.
  • 적합한 게임: FPS, AOS, MMORPG 등 경쟁 요소가 강하고 치트에 민감한 게임.

리슨 서버 (Listen Server) 사용 (소규모)

  • 개념: 한 플레이어의 게임 클라이언트가 서버 역할도 겸하는 방식입니다.
  • 작동 방식: 특정 플레이어가 호스트가 되어 자신의 PC에서 서버를 실행하고, 다른 플레이어들이 이 호스트에게 접속합니다.
  • 장점: 별도의 서버 인프라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구현이 비교적 간단합니다.
  • 단점
    • 호스트 의존성: 호스트가 게임을 종료하면 세션이 종료됩니다.
    • 네트워크 문제: 호스트의 네트워크 환경(업로드 속도, NAT 문제)에 따라 전체 플레이어의 지연 시간이 결정됩니다.
    • 치트 취약성: 호스트 클라이언트가 서버 권한을 가지므로 치트에 매우 취약합니다.
  • 적합한 게임: 협동 중심의 소규모 멀티플레이어 게임, 친구들과 플레이하는 캐주얼 게임. 운영 비용이 중요한 독립 개발사.

서버리스 (Serverless) 아키텍처 (일부)

  • 개념: 백엔드 코드를 서버를 프로비저닝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실행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예: AWS Lambda, Google Cloud Functions).
  • 작동 방식: 짧고 간헐적인 백엔드 로직(예: 리더보드 업데이트, 아이템 구매 검증, 사용자 인증)에 사용됩니다.
  • 장점: 매우 낮은 운영 비용(실행된 시간에만 과금), 높은 확장성.
  • 단점: 실시간 게임 로직 처리에는 부적합합니다 (콜드 스타트, 지연 시간).
  • 적합한 게임: 게임 내 비동기적 백엔드 기능, 웹 서비스 연동.

클라우드 서비스 선택 및 고려 사항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는 게임 개발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AWS (Amazon Web Services)
    • EC2 (Elastic Compute Cloud): 가상 서버 인스턴스.
    • Gamelift: 전용 게임 서버 호스팅, 매치메이킹, 스케일링을 위한 매니지드 서비스. 언리얼 엔진과 잘 통합됩니다.
    • Lambda: 서버리스 컴퓨팅.
    • S3: 스토리지.
    • DynamoDB: NoSQL 데이터베이스.
  • Google Cloud Platform (GCP)
    • Compute Engine: 가상 머신.
    • Cloud Functions: 서버리스.
    • Cloud Spanner/Firestore: 데이터베이스.
  • Microsoft Azure
    • Azure Virtual Machines: 가상 머신.
    • Azure Functions: 서버리스.
    • PlayFab: 백엔드 서비스(BaaS) 제공, 매치메이킹, 리더보드, 인증 등.

선택 시 고려 사항

  • 비용: 각 서비스의 요금 모델과 예상 사용량을 기반으로 총 운영 비용을 추산합니다.
  • 지연 시간 (Latency): 플레이어 기반과 가까운 지역에 데이터 센터를 보유한 공급업체를 선택합니다.
  • 확장성 요구사항: 게임의 예상 동시 접속자 수 변동에 따른 확장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합니다.
  • 관리 용이성 및 통합: 언리얼 엔진과의 통합이 얼마나 쉬운지, 제공하는 관리 도구가 얼마나 효율적인지 고려합니다.
  • 보안: 데이터 암호화, 접근 제어 등 보안 기능을 확인합니다.
  • 지원 및 커뮤니티: 문제 발생 시 기술 지원과 개발 커뮤니티의 활성도를 고려합니다.

언리얼 엔진 전용 서버 빌드 및 배포 과정 요약

전용 서버 모듈 생성: 언리얼 엔진 C++ 프로젝트에서 Source 폴더에 [ProjectName]Server.Target.cs 파일을 생성하여 전용 서버 빌드를 정의합니다.

MyGameServer.Target.cs
using UnrealBuildTool;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public class MyGameServerTarget : TargetRules
{
    public MyGameServerTarget(TargetInfo Target) : base(Target)
    {
        Type = TargetType.Server;
        DefaultBuildSettings = BuildSettingsVersion.V5;
        IncludeOrderVersion = EngineIncludeOrderVersion.Unreal5_3; // Your engine version
        ExtraModuleNames.Add("MyGame"); // Your game module name
    }
}

프로젝트 패키징: 에디터에서 File -> Package Project -> [YourPlatform] -> Server를 선택하여 전용 서버 빌드를 패키징합니다.

클라우드 인스턴스 준비: AWS EC2, GCP Compute Engine 등 클라우드 가상 머신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적절한 운영 체제(Windows Server, Linux)와 사양(CPU 코어, RAM)을 선택합니다.

서버 빌드 업로드: 패키징된 전용 서버 빌드 파일을 클라우드 인스턴스에 업로드합니다 (FTP, SFTP 등).

방화벽 및 네트워크 설정: 서버 인스턴스의 방화벽(Security Group)에서 게임이 사용하는 포트(일반적으로 UDP 7777, 7778 등)를 열어줍니다.

서버 실행: 인스턴스에서 전용 서버 실행 파일을 실행합니다 (예: MyGameServer.exe -log -port=7777).

모니터링 및 로깅: 서버 로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모니터링 도구(예: AWS CloudWatch)를 사용하여 CPU 사용률, 메모리, 네트워크 트래픽 등을 추적합니다.

스케일링 및 자동화: 플레이어 부하에 따라 서버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시작하거나 종료하는 스케일링 그룹(Auto Scaling Group)을 설정합니다.


서버 보안 및 최적화

  • 서버 권한 강화: 게임 클라이언트의 모든 입력을 신뢰하지 말고, 서버에서 다시 검증하여 치트를 방지합니다.
  • DoS/DDoS 공격 방어: 클라우드 서비스의 기본 방어 기능을 활용하거나, 추가적인 DDoS 방어 솔루션을 도입합니다.
  • 데이터 암호화: 민감한 데이터는 전송 중 및 저장 시 암호화합니다.
  • 접근 제어: 서버 관리 및 API 접근에 대한 엄격한 권한 관리를 수행합니다.
  • 최소 권한 원칙: 서버 인스턴스나 백엔드 서비스에 필요한 최소한의 권한만 부여합니다.
  • 서버 측 최적화: 전용 서버 빌드도 9장 "성능 최적화"에서 다룬 CPU 최적화 기법(Tick 최적화, 물리/AI 최적화 등)을 적용하여 최소한의 리소스로 최대한의 플레이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멀티플레이어 게임의 성공적인 운영은 강력하고 안정적인 서버 관리에 달려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확장성, 가용성,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 매력적인 대안을 제공하며, 전용 서버 배포를 통해 치트에 강하고 안정적인 게임 플레이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각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의 특징을 이해하고 게임의 요구사항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며, 서버 빌드, 배포, 모니터링, 그리고 보안에 이르는 전반적인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성공적인 게임 운영을 이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