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환경 설정
자, 언리얼 엔진의 매력과 핵심 구조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으니, 이제 여러분의 컴퓨터에 언리얼 엔진을 설치하고 C++ 개발을 위한 환경을 설정할 차례입니다. 걱정 마세요. 모든 과정을 하나하나 친절하게 안내해 드릴 테니, 저를 따라 천천히 진행해 보세요.
에픽게임즈 런처를 이용한 손쉬운 방법
언리얼 엔진은 에픽게임즈 런처(Epic Games Launcher) 를 통해 가장 쉽게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미 에픽게임즈 계정이 있으시다면 로그인만 하면 되고, 아직 없다면 에픽게임즈 웹사이트에서 간단하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에픽게임즈 런처 다운로드 및 설치: 가장 먼저 에픽게임즈 공식 웹사이트(www.epicgames.com)에 접속하여 에픽게임즈 런처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하세요. 설치 과정은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설치와 동일하게 진행됩니다.
에픽게임즈 런처 실행 및 로그인: 설치가 완료되면 런처를 실행하고 에픽게임즈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언리얼 엔진 탭으로 이동: 런처 좌측 메뉴에서 '언리얼 엔진' 탭을 클릭하세요.
엔진 버전 설치: '라이브러리' 탭을 클릭한 다음, 우측 상단의 주황색 '엔진 버전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최신 버전을 포함하여 설치 가능한 언리얼 엔진 버전 목록이 나타날 거예요. 이 책에서는 언리얼 엔진 5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가급적 최신 언리얼 엔진 5 버전을 선택하고 '설치' 버튼을 클릭하세요.
설치 경로는 기본값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옵션' 버튼을 클릭하면 함께 설치할 구성 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데, C++ 개발을 위해서는 반드시 'Starter Content' (시작 콘텐츠)는 선택 사항이지만 설치를 권장합니다. 초반 학습에 유용하며, 'Editor Symbols for Debugging' (디버깅용 에디터 심볼) 은 디버깅 시 유용하므로 용량이 허락한다면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필수는 아닙니다. 필요한 구성 요소를 선택했다면 '설치'를 진행합니다. 언리얼 엔진은 용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설치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잠시 여유를 가지고 기다려 주세요.
비주얼 스튜디오 설치: C++ 개발의 필수 도구
언리얼 엔진 C++ 개발을 위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스튜디오(Microsoft Visual Studio) 라는 통합 개발 환경(IDE)이 필요합니다. 비주얼 스튜디오는 코드 작성, 디버깅, 빌드 등 C++ 개발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제공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언리얼 엔진은 비주얼 스튜디오와 최적의 호환성을 자랑합니다.
비주얼 스튜디오 다운로드: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웹사이트(visualstudio.microsoft.com)에 접속하여 Visual Studio Community 버전을 다운로드합니다. Community 버전은 개인 개발자나 소규모 팀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비주얼 스튜디오 설치 및 워크로드 선택: 다운로드한 설치 파일을 실행합니다. 설치 관리자가 실행되면, 언리얼 엔진 개발을 위해 다음 워크로드를 반드시 선택해야 합니다.
- C++를 사용한 데스크톱 개발: 기본적인 C++ 개발 도구를 포함합니다.
- 게임 개발용 C++: 언리얼 엔진 개발에 필요한 추가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합니다. 이 워크로드를 선택하면 '설치 세부 정보' 섹션에서 'Unreal Engine 설치 관리자' 항목이 자동으로 선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항목이 반드시 체크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 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른 워크로드를 선택할 수 있지만, 위 두 가지는 필수입니다. 선택이 완료되면 '설치'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이 역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언리얼 엔진과 비주얼 스튜디오 연동 확인
모든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언리얼 엔진이 비주얼 스튜디오를 제대로 인식하는지 확인하고 필요한 설정을 진행해야 합니다.
언리얼 엔진 프로젝트 생성 (임시): 에픽게임즈 런처에서 언리얼 엔진을 실행합니다. '게임' 템플릿을 선택하고, '블랭크(Blank)' 프로젝트를 생성하세요. 프로젝트 생성 시, '프로젝트 기본 설정'에서 'C++' 옵션이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하고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언리얼 엔진 에디터 설정 확인: 새 프로젝트가 열리면, 언리얼 엔진 에디터 상단 메뉴에서 '편집(Edit)' > '에디터 개인 설정(Editor Preferences)' 으로 이동합니다.
소스 코드 에디터 설정: 좌측 메뉴에서 '일반(General)' 아래의 '소스 코드(Source Code)' 섹션을 찾으세요. '소스 코드 에디터(Source Code Editor)' 드롭다운 메뉴에서 'Visual Studio 2022' (또는 설치한 버전에 해당하는 Visual Studio) 가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다른 것이 선택되어 있다면 Visual Studio로 변경하고 에디터를 재시작합니다.
이로써 언리얼 엔진과 비주얼 스튜디오의 기본적인 연동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C++ 코드를 작성하고, 컴파일하며, 언리얼 엔진에서 그 결과를 확인할 준비가 된 것입니다.
추가 설정 및 팁
- Windows SDK 설치: 간혹 비주얼 스튜디오 설치 과정에서 특정 버전의 Windows SDK가 누락될 수 있습니다. 만약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면, 비주얼 스튜디오 설치 관리자를 다시 실행하여 '개별 구성 요소' 탭에서 필요한 버전의 Windows SDK를 설치해 주세요. 언리얼 엔진은 보통 설치된 비주얼 스튜디오에 포함된 최신 SDK를 사용합니다.
- 언리얼 엔진 업데이트: 에픽게임즈 런처를 통해 언리얼 엔진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새로운 기능과 버그 수정이 포함되기 때문이죠.
- 비주얼 스튜디오 확장 프로그램: 비주얼 스튜디오 마켓플레이스에서 'Visual Assist'나 'Resharper C++'와 같은 유료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C++ 코드 작성 및 분석에 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필수는 아니니, 일단은 기본 환경으로 시작해 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여러분의 컴퓨터는 언리얼 엔진 C++ 개발을 위한 완벽한 준비를 마쳤습니다. 설치 과정에서 혹시라도 어려움이 있었다면, 언제든 다시 이 부분을 참고하거나 검색을 통해 해결책을 찾아보세요. 다음 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언리얼 엔진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개념들을 언리얼 엔진 환경에서 어떻게 적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기대되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