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on
10장 : 나이아가라 프로젝트 관리

간단한 버전 관리 방법


나이아가라 파티클 이펙트는 여러 이미터와 모듈, 스크립트, 머티리얼, 텍스처 등 다양한 에셋이 복합적으로 엮여 있습니다. 이러한 복잡성 때문에, 팀 프로젝트에서는 물론이고 개인 작업에서도 버전 관리(Version Control) 는 필수적입니다. 버전 관리는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실수(예: 잘못된 수정, 파일 손상)로부터 복구할 수 있게 하고, 여러 사람이 동시에 작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최소화하며, 과거 작업 내역을 추적하여 문제 해결을 용이하게 합니다.

이 절에서는 나이아가라 에셋을 관리하기 위한 기본적인 버전 관리 개념과 언리얼 엔진에서 주로 사용되는 간단한 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버전 관리의 중요성

  • 실수로부터의 복구: 잘못된 변경 사항을 되돌리거나, 실수로 파일을 삭제했을 때 이전 버전으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 작업 내역 추적: 누가, 언제, 무엇을 변경했는지 기록하여 문제 발생 시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협업 효율성 증대: 여러 팀원이 동일한 프로젝트에서 동시에 작업할 때, 파일 충돌을 관리하고 변경 사항을 통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다양한 버전 관리: 테스트용 버전, 개발 버전, 출시 버전 등 이펙트의 여러 버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언리얼 엔진의 내장 버전 관리 시스템

언리얼 엔진은 다양한 외부 버전 관리 시스템(Perforce, Git, SVN 등)과의 연동을 지원하며, 에디터 내에서 기본적인 버전 관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소스 컨트롤(Source Control)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소스 컨트롤 설정하기

플러그인 활성화

  • 언리얼 에디터 상단 메뉴에서 Edit > Plugins를 선택합니다.
  • Built-In 섹션에서 Source Control을 검색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버전 관리 시스템(예: Perforce, Git)의 플러그인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소스 컨트롤 연결

  • 언리얼 에디터 우측 하단이나 File > Connect to Source Control을 클릭합니다.
  • 사용할 버전 관리 시스템을 선택하고, 해당 시스템의 서버 주소, 사용자 이름, 작업 공간(Workspace) 등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연결합니다.
  • 연결이 성공하면 에디터 우측 하단에 Source Control 상태 아이콘이 나타납니다.

기본적인 나이아가라 에셋 관리 작업

소스 컨트롤에 연결된 후에는 Content Browser에서 나이아가라 에셋(NS, NE 등)을 우클릭하여 다음과 같은 버전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Check Out (체크아웃)

  • 에셋을 수정하기 전에 반드시 해당 에셋을 체크아웃해야 합니다. 이는 해당 에셋에 대한 수정 권한을 자신에게 할당하고, 다른 팀원이 동시에 수정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 체크아웃된 에셋은 Content Browser에서 빨간색 체크 아이콘으로 표시됩니다.

Check In (체크인/커밋)

  • 수정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에셋을 체크인하여 변경 사항을 버전 관리 시스템에 제출하고, 다른 팀원들이 업데이트된 버전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 체크인 시에는 변경된 내용을 요약하는 커밋 메시지(Commit Message) 를 상세하게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 NS_Explosion_Fire: Added more secondary sparks and adjusted lifetime.)
  • 체크인된 에셋은 녹색 체크 아이콘으로 표시됩니다.

Sync (동기화/업데이트)

  • 다른 팀원이 변경 사항을 체크인했을 경우, 자신의 로컬 작업 공간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해 동기화를 수행합니다. 이는 Content Browser에서 최상위 폴더를 우클릭하고 Source Control > Sync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습니다.

Revert (되돌리기)

  • 체크아웃한 후 수정했지만, 그 변경 사항을 취소하고 싶을 때 되돌리기를 사용합니다. 이는 해당 에셋을 체크아웃하기 전의 상태로 되돌립니다.
  • 주의: 되돌리기는 모든 미저장 변경 사항을 영구적으로 삭제하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View History (히스토리 보기)

  • 에셋의 변경 이력을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각 버전별로 누가, 언제 변경했으며, 어떤 커밋 메시지를 남겼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나이아가라 에셋의 특성 및 주의사항

나이아가라 에셋은 대부분 바이너리 파일(.uasset) 형태이므로, 텍스트 기반 코드처럼 줄 단위로 변경 사항을 병합하기 어렵습니다.

  • 바이너리 파일 충돌
    • 두 명 이상의 팀원이 동일한 나이아가라 .uasset 파일을 동시에 수정하고 체크인하려고 할 경우 충돌(Conflict) 이 발생합니다.
    • 이러한 경우, 버전 관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둘 중 하나의 버전을 선택하거나, 수동으로 해결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 최선의 해결책: 나이아가라 에셋은 동시 수정을 피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특정 나이아가라 시스템을 수정할 때는 해당 에셋을 체크아웃하여 다른 팀원이 수정하지 못하도록 하고, 작업을 마친 후 즉시 체크인하는 워크플로우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미터와 시스템의 분리
    • 나이아가라 시스템(NS_)과 이미터(NE_)를 별도의 에셋으로 관리하는 것은 버전 관리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독립적인 이미터는 여러 시스템에서 공유될 수 있으므로, 이미터만 수정하고 체크인하면 해당 이미터를 사용하는 모든 시스템에 변경 사항이 반영됩니다.
    • 하지만 시스템 자체가 수정될 경우, 여전히 시스템 에셋 파일에 대한 충돌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 리디렉터(Redirectors) 관리
    • 나이아가라 에셋의 이름이나 경로를 변경하면 Redirector 파일이 생성됩니다. 이 Redirector 파일은 기존 참조를 새로운 위치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버전 관리 시스템에 커밋하기 전에, 변경된 폴더를 우클릭하고 Fix Up Redirectors in Folder를 실행하여 Redirector를 정리하고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불필요한 파일이 쌓이고 참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팀 워크플로우 제안

  • 작업 분배 명확화: 어떤 팀원이 어떤 나이아가라 시스템이나 이미터를 담당하는지 명확히 하고, 동시 수정을 최소화합니다.
  • 자주 커밋하기: 작은 변경 사항이라도 자주 커밋하여 충돌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문제 발생 시 복구 지점을 늘립니다.
  • 커밋 메시지 상세화: 변경된 내용을 다른 팀원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하고 상세한 커밋 메시지를 작성합니다.
  • 풀 리퀘스트(Pull Request) 또는 코드 리뷰: 대규모 변경 사항의 경우, 풀 리퀘스트나 코드 리뷰를 통해 다른 팀원의 검토를 거친 후 병합하는 워크플로우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Git 기반 프로젝트에서 주로 사용)

나이아가라 파티클 이펙트 제작은 끊임없는 반복과 개선의 과정이며, 버전 관리는 이러한 과정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보장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언리얼 엔진의 내장 소스 컨트롤 기능을 숙지하고, 나이아가라 에셋의 특성을 이해하며, 팀에 맞는 워크플로우를 수립한다면 프로젝트 전반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