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버깅과 테스트
이전 절에서 우리는 언리얼 엔진에서 게임 시스템을 기획하고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코드를 작성하고 기능을 추가하는 것은 개발의 핵심이지만, 완벽한 코드는 존재하지 않으며 예상치 못한 버그와 문제가 끊임없이 발생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디버깅(Debugging) 과 테스트(Testing) 입니다. 이 두 과정은 게임의 품질을 확보하고 플레이어에게 안정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번 절에서는 언리얼 엔진 프로젝트에서 효과적인 디버깅 기법과 다양한 테스트 전략을 통해 게임의 버그를 찾아내고 수정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디버깅: 문제의 원인 찾기
디버깅은 코드의 오류를 식별하고 수정하는 과정입니다. 언리얼 엔진은 강력한 디버깅 도구들을 내장하고 있으며, 외부 IDE와의 연동을 통해 더욱 세밀한 디버깅을 가능하게 합니다.
언리얼 에디터 내 디버깅 도구
- 인게임 콘솔 (
~
키)- 가장 빠르고 기본적인 디버그 도구입니다. 게임 실행 중
~
키를 눌러 콘솔을 열고 다양한 명령어를 입력하여 게임 상태를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예시
stat fps
: 현재 프레임 속도 표시stat unit
: CPU 및 GPU 시간 통계 표시show collision
: 콜리전 메시 시각화toggledebugcamera
: 자유 시점 디버그 카메라 활성화ai.debug [PawnName/ControllerName]
: 특정 AI의 디버그 정보 표시log LogTemp Warning
: 특정 로그 카테고리의 출력 수준 변경 (실시간)
- 가장 빠르고 기본적인 디버그 도구입니다. 게임 실행 중
- 블루프린트 디버거
Window
->Developer Tools
->Blueprint Debugger
: 블루프린트 로직의 실행 흐름을 시각적으로 추적하고 변수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포인트: 노드에 브레이크포인트를 설정하여 특정 지점에서 실행을 일시 중지하고 단계별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 와치(Watch): 특정 변수의 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 비주얼 로거 (Visual Logger)
Window
->Developer Tools
->Visual Logger
: 게임 실행 중 발생하는 이벤트, AI 행동, 이동 경로 등을 시각적으로 기록하고 나중에 재생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복잡한 AI나 물리 시뮬레이션 디버깅에 유용합니다.- 콘솔에서
LogVis
또는LogVisualizer
를 입력하여 활성화합니다.
- 프로파일러 (Profiler)
Window
->Developer Tools
->Session Frontend
->Profiler
: 게임의 성능 병목 현상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CPU 사용 시간, GPU 시간, 메모리 사용량 등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최적화가 필요한 부분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stat startfile
/stat stopfile
명령어를 사용하여 프로파일링 세션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 메모리 스냅샷 (Memory Snapshot)
Window
->Developer Tools
->Session Frontend
->Memory
: 게임의 메모리 사용량을 스냅샷으로 찍어 분석합니다. 메모리 누수나 과도한 메모리 사용량을 찾아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외부 IDE (Visual Studio/Xcode) 디버깅
C++ 코드를 사용하는 프로젝트에서 가장 강력한 디버깅 도구입니다.
- 브레이크포인트: 코드의 특정 줄에 브레이크포인트를 설정하여 프로그램 실행을 일시 중지하고, 해당 지점에서의 모든 정보(변수 값, 호출 스택, 레지스터)를 검사할 수 있습니다.
- 단계별 실행
Step Over (F10)
: 현재 라인을 실행하고 다음 라인으로 이동합니다. 함수 호출 시 함수 내부로 들어가지 않습니다.Step Into (F11)
: 현재 라인을 실행하고, 함수 호출 시 해당 함수 내부로 진입합니다.Step Out (Shift+F11)
: 현재 함수를 모두 실행하고, 해당 함수를 호출한 곳으로 돌아갑니다.
- 조사식 (Watch) / 지역 (Locals) 창: 변수들의 값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 호출 스택 (Call Stack): 현재 코드가 어떤 함수 호출 경로를 통해 실행되었는지 보여주어 버그의 근본 원인을 추적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디버그 빌드: Visual Studio 프로젝트 설정을
DebugGame Editor
(에디터 내 디버깅) 또는DebugGame
(독립 실행 빌드 디버깅)으로 설정해야 심볼 정보가 포함되어 디버깅이 가능합니다.
로그 시스템 활용
UE_LOG(LogCategory, Verbosity, TEXT("Your message here..."));
: C++ 코드에서 특정 카테고리와 중요도(Error, Warning, Log, Verbose 등)를 지정하여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이는Output Log
창과 로그 파일에 기록됩니다.Print String
노드: 블루프린트에서 디버그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거나Output Log
에 출력하는 가장 흔한 방법입니다.
테스트: 게임의 품질 보증
테스트는 게임이 의도한 대로 작동하고, 안정적이며, 플레이어에게 즐거운 경험을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개발 중 테스트 (Developer Testing)
- 유닛 테스트 (Unit Testing)
- 게임의 가장 작은 단위(단일 함수, 특정 클래스)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입니다.
- 언리얼 엔진은 Automation Testing Framework를 통해 유닛 테스트를 지원합니다. C++로 작성하며,
Test
모듈을 사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정의합니다. Engine/Source/Runtime/Core/Public/Tests/
폴더에 예시가 있습니다.AutomationTest.h
:IMPLEMENT_SIMPLE_AUTOMATION_TEST
또는IMPLEMENT_COMPLEX_AUTOMATION_TEST
매크로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정의합니다.Session Frontend
->Automation
탭: 에디터에서 자동화 테스트를 실행하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통합 테스트 (Integration Testing)
- 여러 모듈이나 시스템이 함께 작동할 때 올바르게 연동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입니다. (예: 인벤토리 시스템과 UI 시스템이 잘 통합되는지)
- 엔드 투 엔드 테스트 (End-to-End Testing)
- 게임의 시작부터 끝까지 전체 흐름이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실제 플레이어처럼 게임을 진행하며 테스트합니다.
- 블루프린트 유효성 검사 (Blueprint Validation)
- 에디터 유틸리티 위젯이나 Python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블루프린트 에셋의 특정 규칙(변수 명명 규칙, 불필요한 노드 여부 등)을 자동으로 검사합니다.
QA (Quality Assurance) 테스트
개발팀 내부 또는 전문 QA 팀에 의해 수행되는 체계적인 테스트입니다.
- 기능 테스트 (Functional Testing): 모든 게임 기능이 GDD에 따라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 호환성 테스트 (Compatibility Testing):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 운영 체제, 드라이버 환경에서 게임이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특히 PC 게임)
- 성능 테스트 (Performance Testing): 목표 프레임 속도, 로딩 시간, 메모리 사용량 등 성능 지표를 측정하고 목표를 달성하는지 확인합니다. (Stress Test, Load Test 포함)
- 안정성 테스트 (Stability Testing): 장시간 플레이, 반복적인 액션, 극단적인 상황에서도 게임이 충돌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크래시 테스트)
- 멀티플레이어 테스트: 네트워크 지연, 패킷 손실, 동시 접속자 수 증가 등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기화 및 안정성을 테스트합니다.
- 사용성 테스트 (Usability Testing): 게임의 UI/UX가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편리한지 실제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해 검증합니다.
- 지역화 테스트 (Localization Testing): 게임의 모든 텍스트, 음성 등이 번역된 언어로 올바르게 표시되고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 규정 준수 테스트 (Compliance Testing): 플랫폼별 가이드라인(예: 콘솔 인증, 모바일 스토어 정책)을 준수하는지 확인합니다.
플레이테스트 (Playtesting)
- 목적: 게임의 재미, 밸런스, 플레이어 경험 등 정성적인 부분을 평가하기 위해 실제 플레이어들에게 게임을 시켜보고 피드백을 수집합니다.
- 방법: 내부 팀원, 친구, 또는 외부 베타 테스터 그룹을 모집하여 진행합니다.
- 피드백 수집: 설문조사, 인터뷰, 직접 관찰, 인게임 데이터 로깅 등을 통해 피드백을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버그 트래킹과 관리
- 버그 트래킹 시스템: Jira, Trello, Asana, MantisBT 등 전용 버그 트래킹 시스템을 사용하여 발견된 모든 버그를 기록하고 관리합니다.
- 필수 정보: 버그 제목, 재현 단계, 예상 결과, 실제 결과, 스크린샷/영상, 발생 빈도, 중요도, 담당자, 상태(새로 생성, 할당됨, 수정됨, 검증됨, 닫힘 등).
- 재현 가능성: 버그를 정확히 재현할 수 있는 명확한 단계를 작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우선순위: 버그의 심각도(게임 진행 불가, 크래시)와 발생 빈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수정 계획을 세웁니다.
- 회귀 테스트 (Regression Testing): 버그 수정 후, 해당 수정으로 인해 다른 기능에서 새로운 버그가 발생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입니다.
디버깅과 테스트는 게임 개발 과정에서 끊임없이 반복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활동입니다. 언리얼 엔진이 제공하는 강력한 내장 디버깅 도구와 외부 IDE의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코드 레벨의 문제를 해결하고, 유닛 테스트부터 QA 테스트, 그리고 플레이테스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테스트 전략을 통해 게임의 기능, 성능, 안정성, 그리고 재미를 검증해야 합니다. 효과적인 버그 트래킹과 관리는 팀의 생산성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플레이어에게 고품질의 게임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