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 플랫폼 배포 고려사항
이전 절에서 사용자 피드백을 통한 게임 개선의 중요성을 다루면서, 게임이 출시된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했습니다. 이제 10장의 마지막 내용으로, 크로스 플랫폼 배포(Cross-Platform Deployment) 에 대한 고려사항들을 알아볼 차례입니다. 오늘날 게임 시장은 PC뿐만 아니라 모바일, 콘솔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하나의 게임을 여러 플랫폼에서 서비스하는 것은 더 많은 플레이어에게 접근하고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중요한 전략이 되었습니다. 언리얼 엔진은 강력한 크로스 플랫폼 지원 기능을 제공하지만, 각 플랫폼의 고유한 특성과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것은 성공적인 배포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나 혼자 언리얼 기본' 교재를 통해 여러분이 언리얼 엔진 게임을 여러 플랫폼에 배포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적인 사항들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게임의 잠재적인 시장을 최대한 확장할 수 있도록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마치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여 전 세계 사람들과 소통하듯, 여러분의 게임도 여러 플랫폼에서 성공적으로 빛을 발하게 해봅시다.
크로스 플랫폼 배포의 중요성 및 과제
하나의 게임을 여러 플랫폼에 배포하는 것은 분명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존재합니다.
중요성
- 시장 확대 및 플레이어 접근성 증가: PC 게이머뿐만 아니라 모바일, 콘솔 사용자들에게도 게임을 제공하여 잠재적인 플레이어 수를 크게 늘립니다.
- 수익 증대: 더 많은 플레이어가 게임을 구매하거나 인앱 결제를 할 기회를 제공하여 매출을 높입니다.
- 브랜드 인지도 강화: 다양한 플랫폼에서 게임을 접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게임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팬덤을 구축하는 데 기여합니다.
- 개발 비용 효율성: 언리얼 엔진과 같은 크로스 플랫폼 엔진을 사용하면 각 플랫폼별로 완전히 다른 게임을 개발하는 것보다 개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주요 과제
- 성능 최적화: 플랫폼별 하드웨어 성능 차이가 커서, 저사양 기기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정교한 최적화가 필요합니다.
- 입력 방식의 차이: 키보드/마우스, 게임패드, 터치스크린 등 플랫폼별로 다른 입력 방식을 모두 지원해야 합니다.
- UI/UX 조정: 화면 크기, 해상도, 조작 방식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사용자 경험(UX)을 재설계해야 합니다.
- 플랫폼별 요구사항 및 인증: 각 플랫폼(Google Play, Apple App Store, Steam, PlayStation, Xbox, Nintendo 등)마다 고유한 기술적 요구사항, 콘텐츠 가이드라인, 인증 절차를 준수해야 합니다.
- 버그 및 QA: 플랫폼별로 발생하는 버그가 다를 수 있으며, 모든 플랫폼에서 충분한 QA(품질 보증)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 메모리 및 저장 공간 제약: 특히 모바일이나 구형 콘솔의 경우 메모리 및 저장 공간 제약이 더 엄격합니다.
플랫폼별 성능 최적화 전략
언리얼 엔진은 기본적으로 크로스 플랫폼 렌더링을 지원하지만, 최적의 성능을 위해서는 각 플랫폼의 특성을 고려한 미세 조정이 필요합니다.
모바일 플랫폼 (iOS, Android)
- 최고의 최적화 수준 요구: PC나 콘솔보다 하드웨어 성능이 현저히 낮으므로, 가장 높은 수준의 최적화가 필수적입니다.
- 폴리곤 및 드로우 콜 제한
- 화면에 보이는 총 폴리곤 수를 극도로 제한합니다. (예: 한 프레임당 수십만 폴리곤 이하)
Merge Actors
,HISM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드로우 콜을 최대한 줄입니다.
- 텍스처 해상도 및 압축:
Max Texture Size
를 낮게 설정하고,ETC2
(Android),PVRTC
(iOS) 등 플랫폼에 최적화된 압축 포맷을 사용합니다.
- 머티리얼 및 셰이더 복잡도
Shader Complexity
뷰 모드를 사용하여 복잡한 셰이더를 단순화하고,Masked
또는Opaque
머티리얼을 선호합니다.Unlit
머티리얼 활용을 고려합니다.
- 광원 및 그림자
- 대부분
Static
또는Stationary
광원을 사용하고,Movable
광원은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합니다. - 동적 그림자는 최소화하거나 품질을 대폭 낮춥니다.
- 대부분
- 포스트 프로세싱
- 대부분의 고비용 포스트 프로세싱 효과(SSR, SSAO, 복잡한 블룸)를 비활성화하거나 매우 낮은 품질로 설정합니다.
- LOD 및 컬링
LOD
설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Cull Distance
를 적절히 설정하여 불필요한 오브젝트를 컬링합니다.
- 프로젝트 설정
Project Settings > Platforms > Android/iOS
에서Mobile HDR
비활성화(성능 향상),Mobile MSAA
설정 등을 고려합니다.
콘솔 플랫폼
- 하드웨어 표준화: PC와 달리 하드웨어 스펙이 고정되어 있어 특정 콘솔에 맞춰 최적화하기 용이합니다.
- 목표 FPS 및 해상도: 각 콘솔의 목표 FPS(30fps 또는 60fps)와 해상도(720p, 1080p, 4K)를 달성하도록 최적화합니다.
- 메모리 관리: 콘솔별로 할당된 메모리 제한을 준수해야 합니다.
Memreport
나Unreal Insights
로 메모리 사용량을 면밀히 분석합니다. - 최적화 도구: 콘솔 개발 키트에 포함된 프로파일링 도구와 언리얼 엔진의
Stat
명령어,ProfileGPU
를 함께 활용합니다. - 로드 시간 최적화: 게임 로드 시간이 길어지지 않도록 자산 로딩 전략(
Streaming Levels
,Async Loading
)을 최적화합니다.
PC 플랫폼
- 다양한 하드웨어 스펙: 저사양부터 고사양까지 다양한 PC 환경을 고려해야 합니다.
- 확장성 설정 (Scalability Settings):
Project Settings
에서Quality Scalability
그룹을 설정하고, 플레이어가 게임 내 옵션 메뉴에서 그래픽 품질(Low, Medium, High, Epic, Cinematic)을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합니다. (9장 3절 참조) - DX12 / Vulkan 지원: 최신 API를 지원하여 고사양 PC에서 더 나은 성능과 비주얼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벤치마크 도구: 다양한 GPU 및 CPU 조합에서 게임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벤치마크 기능을 포함하는 것도 좋습니다.
입력 및 UI/UX 고려사항
플랫폼별로 다른 입력 방식과 화면 특성을 반영해야 합니다.
입력 방식
- 키보드/마우스 (PC): 정밀한 조작에 유리.
- 게임패드 (PC, 콘솔): 진동 피드백, 아날로그 스틱 조작. UI 탐색 시 포커스 관리 중요.
- 터치스크린 (모바일): 멀티터치, 스와이프, 핀치 줌 등 직관적인 제스처. 버튼 크기 및 간격, 터치 피드백 고려.
- 언리얼 엔진의 Enhanced Input System: 하나의 입력 액션을 여러 디바이스에 매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크로스 플랫폼 입력 관리에 용이합니다.
UI/UX 디자인
- 해상도 및 화면 비율: 다양한 해상도와 화면 비율에 대응할 수 있도록
UMG
위젯의Anchor
및Padding
설정을 유연하게 사용합니다. - 정보 밀도: 작은 화면(모바일)에서는 정보 밀도를 줄이고, 큰 화면(PC, TV)에서는 더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디자인합니다.
- 버튼 크기: 모바일 터치 환경에서는 버튼 크기가 충분히 커야 하고, 간격도 적절해야 오작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 폰트 가독성: 작은 화면에서도 폰트가 잘 읽히도록 크기, 색상, 대비를 조절합니다.
- 네비게이션: 게임패드나 키보드로 UI를 탐색할 때의 포커스 이동 순서를 명확하게 설정합니다.
플랫폼별 배포 및 인증
각 플랫폼에서 게임을 출시하려면 해당 플랫폼의 고유한 요구사항과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 Google Play Store (Android)
- 개발자 계정 등록, 앱 서명(
Keystore
), APK 또는 AAB(Android App Bundle) 파일 생성, 앱 정보 및 스크린샷 등록. - Google Play Console을 통해 앱 버전 관리 및 출시.
- 개발자 계정 등록, 앱 서명(
- Apple App Store (iOS)
- Apple Developer Program 등록, 앱 서명(
Certificate
,Provisioning Profile
), IPA 파일 생성, 앱 정보 및 스크린샷 등록. - App Store Connect를 통해 앱 버전 관리 및 출시.
- Apple Developer Program 등록, 앱 서명(
- Steam (PC)
- Steamworks 파트너 프로그램 등록, Steamworks SDK 연동, SteamPipe를 통한 빌드 업로드 및 업데이트 관리.
- 상점 페이지 설정, 도전 과제, 클라우드 저장 등 Steam 기능 연동.
- Epic Games Store (PC)
- Epic Games Publishing Program 등록, 개발자 포털을 통한 빌드 업로드 및 관리.
- 콘솔 플랫폼 (PlayStation, Xbox, Nintendo)
- 각 콘솔 제조사의 공식 개발자 프로그램에 등록하고 NDA(비밀유지협약)를 체결해야 합니다.
- 전용 개발 키트(Dev Kit) 사용, 플랫폼 SDK 통합, 엄격한 인증(Certification) 절차 통과가 필수적입니다.
- 언리얼 엔진은 각 콘솔 SDK와 연동되어 빌드를 생성하지만, 콘솔별로 고유한 빌드 파이프라인과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합니다.
크로스 플랫폼 배포의 워크플로우
초기 기획 단계부터 크로스 플랫폼 고려: 처음부터 모든 플랫폼을 지원할지, 어떤 플랫폼을 우선시할지 결정하고, 이에 맞춰 게임 디자인과 아트를 설계합니다.
점진적 최적화: 가장 저사양 플랫폼(주로 모바일)을 기준으로 먼저 최적화를 진행하고, 고사양 플랫폼으로 갈수록 품질을 높여가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플랫폼별 분기 처리: 언리얼 엔진의 Platform Specific
노드(블루프린트)나 WITH_PLATFORM_NAME
매크로(C++)를 사용하여 플랫폼별로 다른 로직이나 자산을 사용하도록 분기 처리합니다. (예: 모바일에서는 특정 고비용 이펙트 비활성화)
자동화된 빌드 시스템: CI/CD(Continuous Integration/Continuous Deployment) 시스템을 구축하여 여러 플랫폼에 대한 빌드를 자동화하고, 패키징 및 테스트 프로세스를 효율화합니다.
다양한 기기에서의 QA: 각 플랫폼별로 다양한 기기(저사양, 중사양, 고사양)에서 철저한 QA를 진행하여 호환성과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크로스 플랫폼 배포는 게임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강력한 전략입니다. 이 절에서 다룬 성능 최적화, 입력/UI/UX 고려사항, 그리고 플랫폼별 배포 및 인증 절차들을 충분히 이해하고 준비한다면, 여러분의 언리얼 엔진 게임이 다양한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서비스될 수 있을 것입니다. 복잡하지만, 그만큼 더 많은 플레이어에게 다가갈 수 있는 가치 있는 도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