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on
10장 : 배포 및 유지보수

배포 후 환경 유지보수


이전 절에서 언리얼 엔진 프로젝트를 실행 가능한 게임 파일로 패키징하는 상세한 방법과 빌드 설정을 배웠습니다. 이제 게임이 성공적으로 배포되어 플레이어의 손에 들어간 후의 단계를 다룰 차례입니다. 게임 출시는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입니다. 배포 후 환경 유지보수는 출시된 게임의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발견된 문제점을 해결하며,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하여 플레이어와의 관계를 이어가는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나 혼자 언리얼 기본' 교재를 통해 여러분이 언리얼 엔진 게임의 출시 후 유지보수 전략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게임의 수명을 늘리고 성공적인 운영을 지속할 수 있도록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마치 살아있는 정원을 가꾸듯, 여러분의 게임도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으로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 봅시다.


배포 후 유지보수의 중요성

게임 출시 후 유지보수는 게임의 장기적인 성공에 필수적입니다.

  • 버그 수정 및 안정성 확보: 출시 후에도 예상치 못한 버그나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신속하게 수정하여 플레이어 경험을 보호하고 게임의 안정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 보안 취약점 대응: 새로운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거나 악용될 경우, 이를 즉시 패치하여 게임 데이터와 플레이어 정보를 보호해야 합니다.
  • 플레이어 피드백 반영: 플레이어의 의견과 피드백은 게임 개선을 위한 귀중한 정보입니다.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게임 플레이 경험을 향상시킵니다.
  • 새로운 콘텐츠 제공: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새로운 레벨, 캐릭터, 아이템 등을 추가하여 플레이어의 흥미를 유지하고 재방문을 유도합니다.
  • 게임 수명 연장: 꾸준한 유지보수는 게임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활발한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 기술적 부채 관리: 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기술적 부채(임시방편 코드, 비효율적인 로직)를 점진적으로 개선합니다.

패치 및 업데이트 관리

게임 출시 후 가장 흔하게 이루어지는 유지보수 활동은 패치(Patch)와 업데이트(Update)입니다.

가. 패치 (Patch)

  • 목적: 주로 치명적인 버그 수정, 보안 취약점 패치, 긴급 밸런스 조정 등 게임의 안정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작은 규모의 업데이트입니다.
  • 특징: 빠른 배포가 중요하며, 파일 크기가 작아 플레이어가 빠르게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언리얼 엔진에서의 접근
    • 핫픽스 (Hotfix): 언리얼 엔진의 FHotfixManager를 사용하여 코드 변경 없이 데이터만 업데이트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서버 기반 게임에서 런타임 데이터(예: 밸런스 수치)를 변경할 때 사용됩니다. (고급 기능)
    • 청크 패치 (Chunk Patch): Pak 파일이 여러 개의 청크로 나뉘어 있는 경우, 변경된 청크만 교체하여 패치 용량을 최소화합니다.
    • diff 패치: 기존 파일과 새로운 파일 간의 차이점(diff)만 전송하여 패치 용량을 극단적으로 줄이는 방식입니다. 언리얼 엔진 자체 기능보다는 외부 패치 시스템(예: Steamworks SDK, Epic Games Store CDN)과 연동하여 구현합니다.

업데이트 (Update)

  • 목적: 새로운 콘텐츠 추가(맵, 캐릭터, 모드), 대규모 시스템 개선, 그래픽 품질 향상 등 게임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대규모 업데이트입니다.
  • 특징: 계획된 주기에 따라 배포되며, 파일 크기가 클 수 있습니다. 플레이어에게 사전 공지 및 기대감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언리얼 엔진에서의 접근
    • 변경된 모든 자산과 코드를 포함하여 새로운 전체 빌드(Full Build)를 다시 패키징합니다.
    • Project Settings > Project > Description에서 Project Version을 업데이트하여 버전을 관리합니다.

패치/업데이트 파이프라인

문제 진단 / 피드백 수집: 버그 보고서, 충돌 로그, 플레이어 커뮤니티 피드백 등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업데이트 아이디어를 수집합니다.

수정 및 개발: 언리얼 엔진 프로젝트에서 문제점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합니다.

내부 테스트: 수정 사항이 다른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지, 새로운 콘텐츠가 의도대로 작동하는지 충분히 테스트합니다.

빌드 및 패키징: Shipping 구성으로 게임을 패키징합니다. 필요한 경우 청크 패치 또는 diff 생성을 준비합니다.

품질 보증 (QA): QA 팀이나 베타 테스터를 통해 최종 빌드의 안정성과 품질을 검증합니다.

배포: 각 플랫폼의 스토어(Steam, Epic Games Store, Google Play, Apple App Store 등)에 패치/업데이트를 업로드하고 배포합니다.

공지 및 커뮤니케이션: 플레이어 커뮤니티에 패치/업데이트 내용, 수정된 버그, 추가된 콘텐츠 등을 상세히 공지합니다.


모니터링 및 로깅

출시된 게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문제를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충돌 보고 (Crash Reporting)

  • 목적: 게임 실행 중 발생하는 치명적인 오류(Crash)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합니다.
  • 언리얼 엔진에서의 접근
    • 언리얼 엔진은 기본적으로 Crash Reporter Client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게임이 충돌하면 플레이어에게 충돌 보고서를 전송할지 묻는 창이 뜹니다.
    • 이를 통해 수집된 충돌 정보는 에픽게임즈의 리포트 사이트(Report Website) 또는 자체 구축한 충돌 보고 서버(예: Sentry, Bugsnag)로 전송되어 개발자가 분석할 수 있습니다.
  • 활용: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충돌의 원인을 파악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버그를 수정합니다.

원격 측정 (Telemetry) 및 분석 (Analytics)

  • 목적: 게임 플레이 데이터(예: 플레이 시간, 특정 레벨 완료율, 아이템 사용 통계, FPS 변화 등)를 수집하여 게임 디자인 개선, 밸런스 조정, 성능 최적화 등에 활용합니다.
  • 언리얼 엔진에서의 접근
    • 언리얼 엔진은 기본적인 통계 수집 기능을 제공하며, Analytics Blueprint Library를 사용하여 커스텀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 Project Settings > Plugins > Analytics에서 다양한 분석 서비스 플러그인(예: Google Analytics, GameAnalytics)을 활성화하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 활용
    • 어느 구간에서 플레이어들이 어려움을 겪는지.
    • 어떤 기능이 잘 사용되지 않는지.
    • 특정 하드웨어에서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지.
    • 게임 경제가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지.

로깅 (Logging)

  • 목적: 게임 실행 중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 경고, 오류 메시지를 기록하여 문제 발생 시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언리얼 엔진에서의 접근
    • UE_LOG 매크로 (C++) 또는 Print String / Log 노드 (블루프린트)를 사용하여 로그를 남깁니다.
    • Project Settings > Packaging에서 Include Debug Files를 활성화하여 최종 빌드에서도 로그 파일을 생성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로그 파일은 일반적으로 [GameName]\Saved\Logs 폴더에 저장됩니다.)
  • 활용: 플레이어가 특정 버그를 보고했을 때, 플레이어의 로그 파일을 요청하여 문제 발생 시점의 게임 상태를 파악하는 데 활용합니다.

커뮤니티 관리 및 피드백 수용

플레이어와의 적극적인 소통은 게임 유지보수의 핵심입니다.

  • 피드백 채널 구축: 공식 포럼, Discord 서버, 소셜 미디어, 게임 내 피드백 시스템 등 플레이어가 쉽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채널을 마련합니다.
  • 피드백 검토 및 우선순위 지정: 수집된 피드백을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버그의 심각성, 플레이어의 중요도, 개발 리소스 등을 고려하여 수정 및 구현의 우선순위를 정합니다.
  • 적극적인 소통: 패치 노트, 개발 일지 등을 통해 플레이어에게 게임의 현황과 향후 계획을 투명하게 공유합니다. 플레이어의 의견을 경청하고 반영하려는 노력을 보여줍니다.
  • 버그 트래킹 시스템: Jira, Trello, Asana 등과 같은 버그 트래킹 시스템을 사용하여 버그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개발 팀원들에게 할당합니다.

배포 후 환경 유지보수는 게임의 장기적인 성공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절에서 배운 패치 및 업데이트 관리, 모니터링 및 로깅, 그리고 커뮤니티 관리 전략들을 통해 여러분의 언리얼 엔진 게임이 출시 후에도 끊임없이 발전하고, 플레이어들에게 사랑받는 게임으로 남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게임의 가치를 더욱 높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