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on
1장 : 언리얼 엔진 소개 및 설치

기본적인 설정 및 프로젝트 생성


언리얼 엔진을 성공적으로 설치하셨다면 이제 첫 발을 내디딜 준비가 되었습니다. 이 절에서는 언리얼 엔진을 처음 실행했을 때 만나게 되는 인터페이스를 간략히 살펴보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프로젝트 생성은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현실화하는 첫 번째 단계이므로, 차분하게 따라와 주세요.


언리얼 엔진 첫 실행 및 초기 설정

에픽게임즈 런처의 '라이브러리' 탭에서 방금 설치한 언리얼 엔진 버전의 '실행(Launch)' 버튼을 클릭해 보세요. 언리얼 엔진이 처음 실행될 때 몇 분 정도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엔진이 필요한 초기 설정을 로드하는 과정이니 잠시 기다려 주세요.

초기 로딩이 완료되면, 가장 먼저 '새 언리얼 에디터 프로젝트(New Unreal Editor Project)' 창이 나타날 것입니다. 이 창이 바로 여러분의 첫 번째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중요한 시작점입니다.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하기

'새 언리얼 에디터 프로젝트' 창은 프로젝트의 템플릿, 설정, 경로 등을 지정하는 곳입니다. 각 항목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프로젝트 카테고리 선택: 좌측 상단에서 프로젝트의 큰 카테고리를 선택합니다.

  • 게임(Games): 게임 개발을 위한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 필름, TV & 라이브 이벤트(Film, TV & Live Events): 영화, 애니메이션 등 선형 미디어 제작에 특화된 템플릿입니다.
  • 건축, 엔지니어링 & 건설(Architecture, Engineering & Construction): 건축 시각화, BIM 등에 사용되는 템플릿입니다.
  • 자동차, 제품 디자인 & 제조(Automotive, Product Design & Manufacturing): 자동차, 제품 디자인 및 시뮬레이션에 활용되는 템플릿입니다.

이 책은 게임 개발을 중심으로 진행되므로, '게임(Games)' 을 선택해 주세요.

템플릿 선택: '게임'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다양한 기본 템플릿들이 나타납니다. 각 템플릿은 특정 장르나 기능에 필요한 기본적인 환경을 미리 설정해 줍니다.

  • 빈 프로젝트(Blank): 아무것도 없는 깨끗한 상태에서 시작합니다. 모든 것을 직접 구성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 블루프린트(Blueprint): 블루프린트 기능을 중심으로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C++ 프로젝트보다 시작이 쉽습니다.
  • C++: C++ 코드를 사용하여 개발할 때 선택합니다.
  • 1인칭(First Person), 3인칭(Third Person): 각각 1인칭 및 3인칭 슈팅 게임의 기본 캐릭터, 애니메이션, 카메라 등이 설정된 템플릿입니다.
  • VR: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을 위한 템플릿입니다.

우리는 언리얼 엔진의 기본적인 작동 방식을 익히고, 가장 직관적인 학습 경험을 위해 '빈 프로젝트(Blank)' 또는 '블루프린트(Blueprint)' 템플릿을 선택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여기서는 나중에 시작용 콘텐츠를 추가할 수 있는 '블루프린트(Blueprint)' 템플릿을 선택하는 것이 조금 더 유용합니다.

프로젝트 설정: 선택한 템플릿 우측에는 프로젝트에 대한 세부 설정 옵션들이 나타납니다.

  • 프로젝트 디폴트(Project Defaults)

    • 블루프린트/C++: 템플릿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지만, 여기서 다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블루프린트를 선택했으니 그대로 둡니다.
    • 최대 품질/성능(Maximum Quality / Performance): 렌더링 품질 설정을 지정합니다. 기본적으로 최대 품질(Maximum Quality) 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에 따라 나중에 변경할 수 있습니다.
    • 데스크탑/모바일(Desktop / Mobile): 타겟 플랫폼을 선택합니다. 우리는 PC 기반으로 학습하므로 데스크탑(Desktop) 을 선택합니다.
    • 시작용 콘텐츠 없음/시작용 콘텐츠 포함(No Starter Content / With Starter Content): '시작용 콘텐츠 포함(With Starter Content)' 을 반드시 선택해 주세요. 언리얼 엔진 학습에 필요한 기본적인 오브젝트, 재질, 파티클 등이 포함되어 있어 초반 학습에 매우 유용합니다.
    • 레이 트레이싱(Raytracing): 실시간 광선 추적 기능 사용 여부를 설정합니다. 고사양 그래픽 카드에서만 지원되며, 학습 초기 단계에서는 필수는 아닙니다. 일단 비활성화(Off) 상태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 나중에 언제든지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폴더(Project Folder)

    • 프로젝트 위치(Project Location): 생성될 프로젝트 파일들이 저장될 경로를 지정합니다. '...' 버튼을 클릭하여 여러분이 원하는 위치를 지정하세요. 찾기 쉽고 여유 공간이 충분한 드라이브에 폴더를 생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예: D:\UnrealProjects\)
    • 프로젝트 이름(Project Name): 프로젝트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이 이름은 폴더명과 프로젝트 파일명으로 사용되니, 의미 있고 명확한 이름으로 지정하세요. (예: MyFirstUnrealProject 또는 UnrealBasicStudy)

프로젝트 생성: 모든 설정을 완료했으면, 우측 하단의 '생성(Create)' 버튼을 클릭합니다.


언리얼 에디터 실행 및 구성 요소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언리얼 엔진이 새 프로젝트를 로드하기 시작합니다. 프로젝트의 규모와 컴퓨터 성능에 따라 이 과정 역시 몇 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로딩이 완료되면, 드디어 언리얼 에디터(Unreal Editor) 의 메인 화면을 마주하게 됩니다. 이 거대한 창은 여러분이 게임을 만들고, 3D 콘텐츠를 제작하는 모든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입니다. 언리얼 에디터는 여러 개의 패널(Panel) 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패널은 특정한 기능과 정보를 담당합니다.

주요 패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장에서 다루겠습니다.)

  • 뷰포트(Viewport): 현재 작업 중인 레벨(Level)을 3D로 보여주는 가장 핵심적인 창입니다.
  • 월드 아웃라이너(World Outliner): 현재 레벨에 배치된 모든 액터(Actor)들의 목록을 트리 형태로 보여줍니다.
  • 디테일 패널(Details Panel): 선택된 액터나 에셋의 속성을 상세하게 편집할 수 있는 창입니다.
  • 콘텐츠 브라우저(Content Browser): 프로젝트의 모든 콘텐츠(모델, 재질, 사운드, 블루프린트 등)를 관리하고 탐색하는 곳입니다.

이제 여러분은 언리얼 엔진의 기본적인 설치와 프로젝트 생성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앞으로 이 익숙해질 언리얼 에디터의 다양한 기능을 탐험하며 여러분의 상상력을 현실로 만들어나갈 것입니다.

다음 장에서는 언리얼 에디터의 주요 패널들을 좀 더 깊이 있게 살펴보고, 기본적인 조작법을 익히는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준비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