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변수 관리와 비밀 정보 보호는 안전하고 유연한 NestJS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핵심 요소입니다.
적절한 환경 변수 사용은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다양한 배포 환경에 대한 유연성을 제공하며 중요한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환경 변수 관리 방법
NestJS에서는 주로 두 가지 방법으로 환경 변수를 관리합니다.
- dotenv
- @nestjs/config
@nestjs/config는 dotenv의 기능을 포함하면서 추가적인 기능(환경별 설정, 스키마 검증 등)을 제공하므로 NestJS 프로젝트에서는 @nestjs/config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환경별 설정 관리
다양한 환경(개발, 테스트, 생산)에 대한 설정을 관리하는 방법
- 환경별 .env 파일 생성
- ConfigModule 설정
- 환경별 설정 파일 사용
비밀 정보 관리
- 환경 변수 사용
- 비밀 정보 참조
클라우드 서비스 시크릿 관리 통합
AWS Secrets Manager 사용 예
- 의존성 설치
- 시크릿 관리자 서비스 구현
설정 값 유효성 검사
Joi를 사용한 스키마 검증
환경 변수와 설정 정보의 버전 관리
- .env.example 파일 사용
- .gitignore에 실제 .env 파일 추가
- CI/CD 파이프라인 통합
컨테이너화된 앱에서의 환경 변수 관리
Docker를 사용할 때의 환경 변수 설정
- Dockerfile
- docker-compose.yml
Best Practices 및 주의사항
- 민감한 정보를 절대 버전 관리 시스템에 포함시키지 않기
- 운영 환경의 비밀 정보는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시크릿 관리 서비스 사용 고려
- 환경 변수에 대한 기본값 설정으로 애플리케이션 실행 오류 방지
- 환경 변수 이름은 명확하고 일관성 있게 작성 (예 : UPPERCASE_WITH_UNDERSCORE)
- 설정 값에 대한 유효성 검사 및 타입 체크 반드시 수행
- 로깅 시 민감한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
- 정기적으로 비밀 정보 로테이션 수행
- CI/CD 파이프라인에서 환경 변수 주입 시 보안에 주의
- 컨테이너화된 환경에서는 런타임 시 환경 변수 주입 고려
- 개발 팀 내 환경 변수 및 비밀 정보 관리 프로세스 수립 및 교육
NestJS 애플리케이션에서 환경 변수 관리와 비밀 정보 보호는 애플리케이션의 안정성, 보안, 유지보수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nestjs/config 모듈을 활용하면 환경 변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다양한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설정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