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머티리얼 설정과 적용
나이아가라 파티클 시스템에서 아무리 복잡하고 정교한 계산을 통해 파티클의 움직임을 제어하더라도, 이 파티클들이 우리의 눈에 어떻게 보일지를 결정하는 것은 전적으로 머티리얼(Material) 의 역할입니다. 머티리얼은 파티클의 색상, 질감, 투명도, 그리고 빛과의 상호작용 방식 등 시각적인 모든 측면을 정의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나이아가라에서 파티클을 렌더링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단계는 바로 적절한 머티리얼을 설정하고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 절에서는 나이아가라 파티클에 머티리얼을 적용하는 방법과, 파티클 시스템에 최적화된 머티리얼을 만드는 기본 원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머티리얼이란 무엇인가요?
언리얼 엔진에서 머티리얼은 3D 오브젝트나 파티클의 표면이 빛에 어떻게 반응할지를 결정하는 데이터 에셋입니다. 이는 색상(Base Color), 거칠기(Roughness), 금속성(Metallic), 노멀(Normal) 맵, 투명도(Opacity) 등 다양한 속성을 포함하며, 최종적으로 화면에 렌더링될 픽셀의 모습을 정의합니다.
나이아가라 파티클의 경우, 대부분 2D 스프라이트 형태로 렌더링되므로, 주로 텍스처 이미지와 투명도를 다루는 머티리얼이 사용됩니다.
나이아가라에 머티리얼 적용하기
파티클에 머티리얼을 적용하는 과정은 간단합니다.
렌더러 모듈 선택: 나이아가라 에디터의 개요(Overview) 패널에서 이미터 아래의 렌더(Render) 섹션에 있는 렌더러 모듈 (가장 흔하게는 Sprite Renderer
)을 선택합니다.
머티리얼 할당: 디테일(Details) 패널에서 Material
속성을 찾습니다.
Material
속성 옆의 드롭다운 메뉴를 클릭하거나 검색 버튼(돋보기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콘텐츠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머티리얼 에셋을 검색하여 선택하거나, 드롭다운 목록에서 기존 머티리얼을 찾아 할당합니다.
머티리얼을 할당하는 즉시 뷰포트에서 파티클의 시각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티클용 머티리얼 제작 기본 원칙
나이아가라 파티클에 최적화된 머티리얼을 만들 때는 몇 가지 중요한 원칙을 고려해야 합니다.
블렌드 모드 (Blend Mode)
머티리얼의 블렌드 모드는 렌더링 시 파티클이 배경과 어떻게 섞일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설정입니다. 대부분의 파티클 효과는 투명도를 사용하므로, 다음 세 가지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됩니다.
-
Translucent
(반투명)- 특징: 파티클이 반투명하게 렌더링되어 배경이 비쳐 보입니다. 연기, 안개, 구름, 빛의 잔상 등 부드럽고 몽환적인 효과에 적합합니다.
- 장점: 가장 자연스러운 투명도 표현이 가능합니다.
- 단점: 렌더링 순서에 민감하며, 복잡한 투명 객체들이 겹칠 경우 시각적인 아티팩트(Sorting Issue)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버드로우(Overdraw) 비용이 높아 성능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 설정: 머티리얼 에디터의
Details
패널에서Material
섹션의Blend Mode
를Translucent
로 설정합니다.Opacity
또는Opacity Mask
핀에 투명도 정보를 연결합니다.
-
Additive
(덧셈)- 특징: 파티클의 색상이 배경 위에 '더해지면서' 렌더링됩니다. 검은색은 투명해지고, 밝은 색상은 강하게 빛나 보입니다. 불꽃, 스파크, 에너지 볼, 레이저 등 밝고 발광하는 효과에 주로 사용됩니다.
- 장점: 렌더링 순서 문제가 거의 없으며, 강렬한 발광 효과를 쉽게 연출할 수 있습니다. 투명도 표현이 단순하여
Translucent
보다 성능이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 단점: 색상이 어두워지거나 어두운 텍스처를 사용할 경우 효과가 잘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설정:
Blend Mode
를Additive
로 설정합니다.Emissive Color
핀에 색상 정보를 연결합니다.Base Color
는 일반적으로 검은색으로 유지합니다.
-
Masked
(마스크)- 특징: 이미지의 알파 채널을 기준으로 완전히 불투명하거나 완전히 투명하게 렌더링됩니다. 부분적으로 투명한 중간 단계는 없습니다.
- 장점: 렌더링 순서 문제가 없으며, 투명/불투명 영역이 명확하여 성능 부담이 적습니다.
- 단점: 부드러운 가장자리나 반투명 표현이 불가능합니다.
- 설정:
Blend Mode
를Masked
로 설정합니다.Opacity Mask
핀에 투명도를 결정할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나 계산 결과를 연결합니다.Opacity Mask Clip Value
를 조절하여 투명/불투명 경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셰이딩 모델 (Shading Model)
대부분의 파티클 머티리얼은 빛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Unlit
(언릿) 셰이딩 모델을 사용합니다. Unlit
은 자체적으로 빛을 발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며, 주변 조명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아 파티클 효과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설정: 머티리얼 에디터의
Details
패널에서Material
섹션의Shading Model
을Unlit
으로 설정합니다.
파티클 컬러 노드 (Particle Color
)
나이아가라 시스템에서 파티클의 색상을 동적으로 제어하려면, 머티리얼 내에서 Particle Color
노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노드는 나이아가라 시스템에서 Particles.Color
속성으로 설정된 현재 파티클의 색상(RGB)과 알파(A) 값을 머티리얼로 가져옵니다.
- 사용법: 머티리얼 에디터에서 우클릭하고
Particle Color
를 검색하여 추가합니다. - 연결:
Particle Color
노드의RGB
출력은 머티리얼의Base Color
또는Emissive Color
입력에 연결하고,Alpha
출력은Opacity
또는Opacity Mask
입력에 연결합니다. - 활용: 나이아가라에서
Initialize Particle
이나Scale Color
모듈을 통해 파티클의 색상을 변경하면,Particle Color
노드를 통해 이 변경 사항이 머티리얼에 반영되어 최종 렌더링에 적용됩니다.
텍스처 (Texture)
파티클의 모양과 질감을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보통은 알파 채널이 있는 텍스처(TGA, PNG 등)를 사용합니다.
- 팁: 텍스처를 임포트할 때, 투명도를 위해
Alpha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Compression Settings
에서VectorDisplacementmap
또는UserInterface2D
를 사용하여Alpha
채널이 올바르게 처리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직접 해보기: 간단한 불꽃 머티리얼 만들기
간단한 Additive 블렌드 모드를 사용하는 불꽃 머티리얼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새 머티리얼 생성: 콘텐츠 브라우저에서 우클릭 > Material
을 선택하고 M_SimpleFire
와 같이 이름을 지정합니다. 더블 클릭하여 머티리얼 에디터를 엽니다.
블렌드 모드 설정
Details
패널에서Material
섹션의Blend Mode
를Additive
로 변경합니다.Shading Model
을Unlit
으로 변경합니다.
파티클 컬러 노드 추가: 머티리얼 그래프에서 우클릭하고 Particle Color
를 검색하여 추가합니다.
색상 및 투명도 연결
Particle Color
노드의RGB
출력 핀을Emissive Color
입력 핀에 연결합니다.Particle Color
노드의Alpha
출력 핀을Opacity
입력 핀에 연결합니다.
기본 불꽃 텍스처 추가 (선택 사항)
- (만약 불꽃 텍스처가 있다면) 콘텐츠 브라우저에서
T_Smoke_SubUV
(엔진 기본 제공) 또는 유사한 불꽃/연기 텍스처를 머티리얼 그래프로 드래그 앤 드롭합니다. Texture Sample
노드의RGB
출력을Particle Color
노드의RGB
입력에 곱셈(Multiply
) 노드를 사용하여 연결하고,Alpha
출력을Particle Color
노드의Alpha
입력에 곱셈(Multiply
) 노드를 사용하여 연결합니다. 이렇게 하면 나이아가라에서 설정하는 색상과 투명도가 텍스처에 적용됩니다.
저장: 머티리얼을 저장합니다.
나이아가라 시스템에 적용: 이전에 만든 NS_BasicSpawn
(또는 새 시스템)을 열고, Sprite Renderer
모듈의 Material
속성에 M_SimpleFire
를 할당합니다.
나이아가라 에디터에서 Initialize Particle
또는 Scale Color
모듈을 사용하여 파티클의 색상을 주황색이나 노란색 계열로 변경해보고, 수명에 따라 알파 값을 조절하여 사라지도록 하면 더욱 불꽃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머티리얼 설정은 나이아가라 효과의 시각적인 정체성을 부여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적절한 블렌드 모드, 셰이딩 모델, 그리고 Particle Color
노드 활용은 여러분의 파티클 효과를 한층 더 전문적으로 보이게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