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과 데이터 정합성은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구축의 핵심입니다.
NestJS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트랜잭션의 개념과 ACID 속성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작업 단위를 말합니다.
ACID는 트랜잭션의 네 가지 주요 속성을 나타냅니다.
- 원자성(Atomicity) : 트랜잭션의 모든 연산이 완전히 수행되거나 전혀 수행되지 않아야 함
- 일관성(Consistency) : 트랜잭션 실행 전후의 데이터베이스 상태가 일관되어야 함
- 격리성(Isolation) :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함
- 지속성(Durability) : 성공적으로 완료된 트랜잭션의 결과는 영구적으로 반영되어야 함
NestJS 애플리케이션에서 ACID 속성을 준수하는 것은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다양한 ORM에서의 트랜잭션 구현
TypeORM
Mongoose
Mongoose는 트랜잭션을 네이티브로 지원하지 않지만 MongoDB 4.0 이상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현할 수 있습니다.
Prisma
트랜잭션 자동화
NestJS의 인터셉터를 사용하여 트랜잭션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 인터셉터를 컨트롤러나 메서드에 적용하여 자동으로 트랜잭션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분산 트랜잭션
분산 트랜잭션은 여러 데이터베이스 또는 서비스에 걸쳐 있는 트랜잭션을 말합니다.
NestJS에서 이를 구현하려면 2단계 커밋(Two-Phase Commit) 프로토콜이나 사가(Saga) 패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가 패턴 예시
낙관적 잠금과 비관적 잠금
낙관적 잠금
TypeORM에서 낙관적 잠금 구현
비관적 잠금
TypeORM에서 비관적 잠금 구현
데이터 일관성 유지 전략
이벤트 소싱
이벤트 소싱은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변경을 일련의 이벤트로 저장하는 패턴입니다.
CQRS (Comm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
CQRS는 명령(쓰기)과 쿼리(읽기)를 분리하는 패턴입니다.
대규모 데이터 처리 전략
- 배치 처리 : 대량의 데이터를 작은 배치로 나누어 처리
- 비동기 처리 : 장시간 실행되는 작업을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처리
- 읽기 전용 레플리카 사용 : 읽기 작업을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분산
Best Practices와 주의사항
- 트랜잭션은 가능한 짧게 유지하여 락 경합을 줄입니다.
- 데드락을 방지하기 위해 일관된 순서로 리소스에 접근합니다.
- 트랜잭션 내에서 외부 서비스 호출을 피합니다.
- 대규모 데이터 처리 시 배치 처리나 스트리밍 처리를 고려합니다.
- 분산 시스템에서는 최종 일관성(Eventual Consistency)을 고려합니다.
- 트랜잭션 롤백 시나리오를 테스트합니다.
- 성능 병목 지점을 식별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프로파일링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인덱스를 적절히 사용하여 트랜잭션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 트랜잭션 격리 수준을 애플리케이션 요구사항에 맞게 설정합니다.
- 데이터 정합성 검증을 위한 자동화된 테스트를 작성합니다.
NestJS 애플리케이션에서 트랜잭션 관리와 데이터 정합성 유지는 견고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의 핵심입니다.
다양한 ORM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이해, 그리고 적절한 패턴과 전략의 적용이 중요합니다.